[보도자료] '국가보안법폐지 대행진단', 7일째 대전 산내 골령골에 닿아!
- 분단과 전쟁의 억울한 희생자들 앞에서 '진상규명, 명예회복' 다짐!

1. 지난 5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출발한 '국가보안법 폐지 전국대행진'(이하 대행진)이 7일째를 맞는 11일 대전에 닿았다. 이들은 아침 일찍 산내 골령골을 찾아 위령제를 지내고, 대전교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서대전시민공원에서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까지 행진했다.
2. 대전 산내 골령골은, 희생자들이 묻힌 구덩이들을 연결하면 무려 1km에 달해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이라 불리는 곳이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에 대전형무소에 수감된 재소자와 대전·충남 지역에서 좌익으로 몰린 민간인들이 집단 학살된 곳이다. 제주4.3 불법 군사재판 희생자 300여 명의 유해도 함께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대행진단은 위령제 제문을 통해 "동족을 학살하고 분단에 기생하여 기득권을 누려왔던 분단적폐를 청산하고, 평화와 통일을 실현하겠다. 73년 분단적폐 국가보안법을 반드시 폐지하여 억울하게 희생된 원혼들의 넋을 기리며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실현하겠다"고 영령들의 명복을 빌었다.
4. 대행진단은 오전 10시에 대전교도소 앞에서 '국가보안법폐지대전시민행동'과 함께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김병국 (사)대전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바로 이곳은 가장 많은 국가보안법 피해자들이 거쳐 간, 인권유린으로 악명높기로 유명한 대전교도소 앞"이라며 "제주를 시작으로 일주일째 전국 방방곡곡을 걸어 이곳에 당도한 대행진을 환영하며, 함께 힘을 모아 반드시 국가보안법을 폐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민중의힘 상임대표인 김율현 민주노총 대전본부장은 "국가보안법은, 헌법에도 엄연히 보장된 권리를 보장하라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탄압하는 데도 가장 맹렬히 악용된 법"이라며 "지난 5월 단 열흘만에 10만의 국민동의청원이 있었던만큼 '폐지'야말로 국민의 준엄한 뜻"이라고 국회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현우 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은 "국가보안법의 최대 피해자 이석기 의원이 9년째 감옥에, 지금은 이곳 대전교도소에 갇혀있다"며 "진보당은 이석기 의원을 석방하고 다시는 국가보안법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폐지를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5. 대행진단의 공동단장으로는 박승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소장, 실천불교승가회 도철 스님, 조계종 사회노동위 지몽 스님, 김영식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대표 신부, 강해윤 원불교 교무, 김경민 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조영선 민변 국가보안법폐지 TF단장, 박미자 전교조 참교육연구소장 등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를 모두 망라했다. 김재하 한국진보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총괄단장을 맡았다.
6. 전체 일정 참가자는 김재하 총괄단장, 박미자 공동단장을 비롯하여 서효정 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준) 사무국장, 김태임 615시민합창단 운영위원장, 장현술 민주노총 대협실장 등 10여 명이다. 행진이 이어지는 곳마다 각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에서 함께 걷고 있다. 앞으로 충남, 충북, 강원, 인천, 경기를 거쳐 오는 15일 서울 국회의사당에 도착할 예정이다.
7. 열흘 간 대행진의 구체적인 일정과 상황은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행동 홈페이지(http://www.nonsl.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행진을 포함한 하반기 집중행동을 위해 '소셜펀치' 형태로 시민들의 모금도 진행 중이다.(https://www.socialfunch.org/nomore_nsl)




[보도자료] '국가보안법폐지 대행진단', 7일째 대전 산내 골령골에 닿아!
- 분단과 전쟁의 억울한 희생자들 앞에서 '진상규명, 명예회복' 다짐!
1. 지난 5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출발한 '국가보안법 폐지 전국대행진'(이하 대행진)이 7일째를 맞는 11일 대전에 닿았다. 이들은 아침 일찍 산내 골령골을 찾아 위령제를 지내고, 대전교도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서대전시민공원에서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까지 행진했다.
2. 대전 산내 골령골은, 희생자들이 묻힌 구덩이들을 연결하면 무려 1km에 달해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이라 불리는 곳이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에 대전형무소에 수감된 재소자와 대전·충남 지역에서 좌익으로 몰린 민간인들이 집단 학살된 곳이다. 제주4.3 불법 군사재판 희생자 300여 명의 유해도 함께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대행진단은 위령제 제문을 통해 "동족을 학살하고 분단에 기생하여 기득권을 누려왔던 분단적폐를 청산하고, 평화와 통일을 실현하겠다. 73년 분단적폐 국가보안법을 반드시 폐지하여 억울하게 희생된 원혼들의 넋을 기리며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실현하겠다"고 영령들의 명복을 빌었다.
4. 대행진단은 오전 10시에 대전교도소 앞에서 '국가보안법폐지대전시민행동'과 함께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김병국 (사)대전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바로 이곳은 가장 많은 국가보안법 피해자들이 거쳐 간, 인권유린으로 악명높기로 유명한 대전교도소 앞"이라며 "제주를 시작으로 일주일째 전국 방방곡곡을 걸어 이곳에 당도한 대행진을 환영하며, 함께 힘을 모아 반드시 국가보안법을 폐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민중의힘 상임대표인 김율현 민주노총 대전본부장은 "국가보안법은, 헌법에도 엄연히 보장된 권리를 보장하라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탄압하는 데도 가장 맹렬히 악용된 법"이라며 "지난 5월 단 열흘만에 10만의 국민동의청원이 있었던만큼 '폐지'야말로 국민의 준엄한 뜻"이라고 국회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현우 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은 "국가보안법의 최대 피해자 이석기 의원이 9년째 감옥에, 지금은 이곳 대전교도소에 갇혀있다"며 "진보당은 이석기 의원을 석방하고 다시는 국가보안법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폐지를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5. 대행진단의 공동단장으로는 박승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소장, 실천불교승가회 도철 스님, 조계종 사회노동위 지몽 스님, 김영식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대표 신부, 강해윤 원불교 교무, 김경민 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조영선 민변 국가보안법폐지 TF단장, 박미자 전교조 참교육연구소장 등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를 모두 망라했다. 김재하 한국진보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총괄단장을 맡았다.
6. 전체 일정 참가자는 김재하 총괄단장, 박미자 공동단장을 비롯하여 서효정 국가보안법폐지교육센터(준) 사무국장, 김태임 615시민합창단 운영위원장, 장현술 민주노총 대협실장 등 10여 명이다. 행진이 이어지는 곳마다 각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에서 함께 걷고 있다. 앞으로 충남, 충북, 강원, 인천, 경기를 거쳐 오는 15일 서울 국회의사당에 도착할 예정이다.
7. 열흘 간 대행진의 구체적인 일정과 상황은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행동 홈페이지(http://www.nonsl.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행진을 포함한 하반기 집중행동을 위해 '소셜펀치' 형태로 시민들의 모금도 진행 중이다.(https://www.socialfunch.org/nomore_nsl)